반응형
운영 환경에서의 모니터링 & 로깅 - 진짜 '운영자'의 첫걸음
“서비스는 배포 후부터가 진짜 시작입니다.”
배포를 마친 후 우리는 한 발짝 더 나아가야 합니다. 이제부터는 장애를 예방하고, 트래픽을 감시하고, 문제를 추적해야 합니다. 이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가 바로 모니터링과 로깅 시스템입니다.
🧭 왜 운영 환경에 모니터링과 로깅이 필요한가?
- “배포 후 접속이 안 돼요.” → 누구도 알림을 받지 못했다면?
- “에러가 났는데 로그가 없어요.” → 어디서부터 확인해야 할까?
개발자는 기능을 만들고, 운영자는 시스템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스타트업이나 소규모 팀에서는 이 역할이 곧 당신 자신이 됩니다.
🧠 실전 경험 기반 통찰
- 운영 문제는 대부분 “몰랐기 때문에” 심각해진다
- 로깅과 모니터링은 예방과 대응의 시작점이다
🔍 모니터링이란?
모니터링은 서비스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이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행위입니다.
대표 도구
- Prometheus: 메트릭 수집 & 시계열 데이터 저장
- Grafana: 시각화 대시보드 제공
수집 가능한 정보
- CPU, 메모리, 네트워크 사용량
- HTTP 요청 수, 에러율
- DB 연결 상태
예시
- 트래픽 급증 → 시스템 부하 → 장애 발생 → 사전 대응 가능
📦 로깅이란?
로깅은 서비스에서 발생한 사건(에러, 요청 등)을 기록하는 과정입니다.
대표 도구
- ELK Stack (Elasticsearch + Logstash + Kibana)
- Loki (Grafana + 로그 스트리밍에 최적화된 구조)
로그로 알 수 있는 것들
- 어떤 API가 호출되었는가?
- 어떤 에러가 얼마나 자주 나는가?
- 어느 시점에 문제가 시작됐는가?
- 특정 사용자에게만 발생하는 이슈 파악
🧪 Docker 기반 간단 연동 실습
1. Grafana + Prometheus
docker-compose.yml 예시
version: '3.8'
services:
prometheus:
image: prom/prometheus
ports:
- "9090:9090"
volumes:
- ./prometheus.yml:/etc/prometheus/prometheus.yml
grafana:
image: grafana/grafana
ports:
- "3001:3000"
prometheus.yml 설정 예시
scrape_configs:
- job_name: 'node'
static_configs:
- targets: ['host.docker.internal:9100']
Tip: node-exporter를 통해 서버 리소스 모니터링을 더 정밀하게 할 수 있습니다.
2. Loki + Grafana 로그 연동
- Loki는 Docker 로그를 스트리밍해서 실시간 시각화 가능
- loki, promtail, grafana를 조합해 로그 대시보드 구성
- JSON 로그 구조화를 통해 검색과 필터가 쉬워짐
📡 알림 시스템 연동하기
- Grafana Alerting → 특정 조건 충족 시 Slack, 이메일 등으로 알림 전송
- Slack Webhook 설정 → 무료 요금제로도 충분히 활용 가능
Content-Type: application/json
{
"text": "[ALERT] 서비스 응답 시간 지연!"
}
실전 팁: 알림은 너무 많으면 무시된다. 중요한 조건만 지정하고, 주기 설정을 정교하게 하자.
🚨 자주 발생하는 운영 이슈 & 체크리스트
항목점검 포인트
서버 재시작 | 로그 백업, 포트 충돌 확인 |
DB 연결 끊김 | DB 컨테이너 상태, 볼륨 권한 확인 |
API 오류 | 로그 확인, Nginx 에러 로그 병행 검토 |
트래픽 급증 | 리소스 모니터링, Auto Scaling 고려 |
로그 디스크 초과 | logrotate 설정, 로그 저장소 분리 |
🧭 회고: 이제는 “개발자”가 아닌 “운영자”
개발과 배포만으로 끝나지 않는 이유, 바로 이 운영 과정 때문입니다.
이제 우리는 코드만 보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 전체를 바라보는 눈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우리가 배운 것
- 장애는 예방 가능하다
- 지표와 로그는 운영자의 무기다
- 도구보다 중요한 건 “관찰하고 개선하려는 태도”다
운영을 경험해본 개발자만이,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설계할 수 있습니다.
🔮 다음 편 예고: 자동 복구 & 장애 대응 시스템 설계
장애가 발생했을 때, 자동으로 복구되거나 최소한 사람이 빠르게 대응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를 위한 자동 재시작, 헬스체크, 롤백 시나리오 등을 다룹니다.
🔧 지금부터는 당신이 운영팀입니다.
우리는 ‘개발자’에서 ‘DevOps 엔지니어’로 성장 중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