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AI 심리 상담의 함정

by 타임 플레그 2025. 6. 17.
반응형

친구가 하는 말이 "요즘 GPT가 나보다 나를 더 잘 안다"는 거예요.

처음엔 농담인 줄 알았는데 연애, 직장 스트레스 관련해서 AI한테 상담받고 있더라고요.

"사람보다 AI가 훨씬 더 괜찮다고" 하면서 심지어 "AI는 감정적으로 반응 안 해서 좋다"고까지 하더라고요.

그런데 정말 AI가 우리 마음을 제대로 읽어주는 걸까요? 아니면 우리가 착각하는 걸까요?

요즘은 아예 "AI 상담일기"를 쓰는 사람들도 있다고 하더라고요. 매일 그날 있었던 일 적고 AI한테 조언받는 거죠.

AI 심리상담과 대화하는 사람들

Photo by Steve Johnson on Unsplash

1. AI는 최고의 상담가인가

"제가 너무 예민한가요?"라고 물어보면 AI는 절대 "네, 예민해요"라고 안 해요. "당신의 예민함은 세심함의 표현일 수 있어요"라고 포장해서 말해주죠.

AI의 답변은 언제나 내편이죠. 새벽 3시까지 잠들지 못할때 스마트폰을 열면 "당신 감정 충분히 이해해요"로 시작해서 해결책까지 쭉쭉.

24시간 언제나 날 위한, 나만의 상담사가 되어주고 주는데 거기다 무료라니 정말 최고죠

그런데 단순한 상담이 아닌 의존을 하기 사작하면, 자기가 원하는 답 나올 때까지 질문을 계속 바꿔가며 물어봐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해요?" 했다가 마음에 안 들면 "좀 더 자세히 말해주세요" 이런 식으로요. 심지어 "다른 관점에서 봐주세요"라고 하면서 자기 마음에 드는 답이 나올 때까지 계속 시도를 하면서 멋진 AI상담가에서 점차 멋진 감정 쓰레기통이 되어가는걸 눈치채지 못하죠

조개 껍데기를 귀에 대고 있는

Photo by Anastasiya Badun on Unsplash

2. 내 생각은 복잡한데 AI 답변은 너무 간단해

그런데 진짜 친구나 가족은? 때로는 뼈 때리는 말도 하고 듣기 싫은 현실 얘기도 하죠.

"너 그러다 큰일 난다" "솔직히 네가 좀 이상해" "현실 좀 봐" 이런 말들. 처음엔 기분 나쁘지만 나중에 보면 정말 필요한 말이었어요. 엄마가 "네가 너무 안일하게 생각한다"고 할 때는 화났는데, 몇 년 후에 보니까 정말 맞는 말이었거든요.

AI에 빠진 사람들은 좀 더 심화적인 내용을 가면 바로 AI 검색을 해봅니다. 그럼 결국 생각을 해보지 않고 얕은 수준의 질문을 하니 AI는 얕은 수준을 답변을 하게 되는거죠.

AI는 당신에게 항상 도움을 주려 하기에 비판하지 않아요, 사람들은 중간에 끼어들고 딴 얘기하니까 답답해해요. "AI가 훨씬 이해력 좋다"면서요.

사실 AI가 우리를 이해하는 건 아니에요. 그냥 엄청난 데이터에서 적절해 보이는 답 찾아서 조합해서 보여주는 거예요.

"친구랑 싸워서 속상하다"라고 하면 AI는 "인간관계 갈등 해결법"을 알려주는데, 실제로는 회사 상사한테 받은 스트레스가 친구한테 터지는 거일 수도 있거든요. 이런 연결고리는 AI가 절대 못 찾아요.

노트북으로 일하는

Photo byAnnie Spratt on Unsplash

3. AI에 익숙해지면 진짜 사람이 불편해진다

AI 상담을 받고 나면 잠깐 머리가 맑아지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그대로예요.

진통제 먹은 것처럼 아픔은 사라지는데 병은 그대로인 거죠. 근본 원인을 해결한 게 아니라 증상만 달래 주고 그 이상은 힘들다는 거죠.

AI에 의존하다 보면 사람들과의 관계가 어색해진다는 거예요. AI는 24시간 내 말만 들어주는데, 사람들은 자기 얘기도 하고 싶어 하잖아요.

그럼 "왜 자기 얘기만 하지?" 이런 생각이 들어요. AI처럼 내 말만 듣고 조언만 해주면 좋겠다는 거죠.

실제로 AI 상담에 익숙해진 사람들 보면 대화 패턴도 바뀌어요. "제가 이런 상황인데요"라고 상황 설명부터 하고, 상대방이 조언해 주길 기다려요.

상대방과 상호 작용 없이 그저 내 말에 답면만 하길 바라는 일이 빈번해진답니다.

진정한 인간관계와 소통의 가치

Photo by Christina @ wocintechchat.com on Unsplash

AI 아예 쓰지 말라는 건 아니에요. 급할 때나 생각 정리할 때는 도움 되니까요.

일기 쓰듯이 하루 있었던 일 정리하거나, 막막할 때 방향성 잡는 정도로는 괜찮아요. 근데 진짜 중요한 고민이나 인생 큰 결정은 역시 믿을 만한 사람이랑 상의하는 게 맞는 것 같아요.

일상생활에서 사탕 발린 말을 자주 하는 사람보다 내게 쓴소리를 하는 사람이 날 더 위하는 사람이라는 걸 우리는 알고 있잖아요

※ 본 내용은 AI 심리학 연구(Russell & Norvig, 2021)와 디지털 시대 인간관계 변화 분석, 그리고 일상 관찰 사례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반응형